[종교와죽음] 영적인 죽음 수행, 살레카나

『살레카나_자이나교의 자발적 단식존엄사』 양영순지음, 씨아이알(2025) 의사조력 자살, 안락사일까 존엄사일까 형제들과 돌아가며 아버지 돌봄을 하다보니 자연스럽게 우리의 나이듦과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게 될 때가 있다. 아마도 우리가 부모님 돌봄을 하는 마지막 세대, 자식들에게 돌봄을 받지 않는 첫 세대가 될 거라는데 내 형제들은 모두 동의한다. 자식들에게 돌봄을 요구할 수도 없고 요구할 생각도 없는 마처세대여서…

[종교와죽음] 비구 법정의 엔딩노트

『소설 무소유』, 정찬주, 열림원 오도송과 열반송 얼마 전 아버지 구순을 맞아 가족여행을 하던 중 고성의 화암사를 방문했다. 일주문을 지나 절 경내로 들어서기까지 1키로 남짓한 길 양쪽에는 선사들의 열반송과 오도송을 새긴 석비가 이어져 있었다. 길을 가며 그 오도송과 열반송을 하나하나 확인하는 재미가 쏠쏠했다. 오도송은 선사들이 깨달음의 기쁨을 노래한 시이고, 열반송은 열반에 들기 전에 남긴…

[종교와죽음]윤회는 실재인가, 방편인가?

『윤회: 불교의 마음, 업, 우주에 대한 길잡이』 (Rebirth: A Guide to Mind, Karma, and Cosmos in the Buddhist World), 로저잭슨 지음, 운주사 종교와 죽음에 대한 책으로 이번에는 불교의 윤회와 업에 대한 연구서, 미국의 불교학자 로저 잭슨의 『윤회』를 골랐다. 저자는 서문에서 이 책은 윤회와 업이라는 주제에 대해서 2,000년 이상 이루어진 광범위한 불교의 담론을 조사하고 정리했다고…

[종교와죽음] 당신은 태어난 적도 없고, 죽지도 않는다

스와미 비베카난다, 『마음의 요가』, 판미동 스와미 비베카난다는 누구인가 스와미 비베카난다(1863~1902)는 영국 지배하의 인도 캘커타에서 태어났다. 그는 간디가 “만일 인도를 알려면 비베카난다를 공부하라”고 말할 정도로 근대 인도의 힌두교 영성에 큰 족적을 남겼다. 비베카난다는 대학에서 서구식 교육을 받고 서양사상과 논리학에 빠지기도 했지만 라마크리슈나(1836~1886)를 만나고부터는 그의 제자로 살았다. 비베카난다는 라마크리슈나와의 첫 만남(1881년)을 이렇게 회상한다. 어느날…

[종교와죽음] 예수는 천국과 지옥을 말하지 않았다

『두렵고 황홀한 역사』바트 어만, 갈라파고스 무함마드 평전을 읽은 이후에 나는 간혹 <꾸란>을 펼쳐서 읽고 있다. <꾸란>이 죽음에 대해 어떻게 말하는지, 죽음 이후에 대해 어떤 가르침을 주고 있는지 알고 싶기 때문이다. 깊이 읽지는 않았지만 내가 보기에 『꾸란』이 계시하는 사후세계는 그동안 알아온 기독교의 사후세계관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꾸란』 역시 ‘언젠가 죽은 사람들이 모두 부활하는 날이 올…

[종교와죽음]이슬람의 예언자, 무함마드

이슬람의 예언자, 무함마드 『신의 예언자 무함마드』(카렌 암스트롱, 교양인)/『마호메트 평전』(카렌 암스트롱, 미다스문고) 올해 나는 세계 종교의 주요 인물들의 생애와 사상을 공부하며 ‘종교와 죽음’이라는 주제에 다가가려고 한다. 작년에 나이듦연구소의 죽음 세미나에서 읽은 『세계종교로 본 죽음의 의미』가 이 주제에 관심을 갖게 한 직접적 계기가 되었다. 이 책은 일신교인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과 힌두교, 불교의 죽음관을 비교하고 있다. 저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