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회 유언장을 써보자

엔딩노트와 유언장 요즘엔 흔치 않지만 10년 전만해도 컴퓨터를 쓰다가 겪게 되는 가장 무서운 일은 갑자기 모니터가 파란 화면으로 바뀌면서 ‘알 수 없는 오류로 시스템을 다시 시작합니다’라는 메시지가 뜨는 것이었다. 진행 중이던 작업은 저장되지 않은 채로 모두 날아가고 컴퓨터가 재시동 되는 것을 바라보며 황당함은 분노로 바뀌곤 했었다. 그런데 만약 나의 삶이 어느 날 비정상적 종료(사고)를 하거나…

더 보기

6회 누구에게나 연고자는 있다

무연고 사망자가 될 가능성? “앞으로 결혼할 계획 있으세요? 만약 없다면 당신은 ‘무연고 사망자’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 설마?’ 하실 분이 많을 겁니다. 그렇다면 형제·자매는 있으신가요? 있다면 당신 장례를 치를 정도로 관계가 친밀한지 잘 생각해 보세요.” 저소득자 및 무연고자 장례지원을 하고 있는 단체 나눔과나눔의 박진옥이사가 오마이뉴스에 쓴 칼럼(2024년 3월 26일자)의 일부이다. 결혼 계획이…

더 보기

5회 죽어서도 할 수 있는 나눔 – 시신 기증

가족이 시신기증을 희망한다는 것 K의 아버지는 심근경색으로 입원하신 후 퇴원을 기다리다가 갑자기 돌아가셨다. 예상치 못한 일이라 경황없이 장례준비를 해야 하는 상황이었는데 아버지 지갑 속 시신기증등록증이 발견되었다. K의 아버지가 시신기증 이야기를 꺼낸 것은 돌아가시기 7~8년 전이었다. 아버지는 가족동의를 위해 딸들에게 이 사실을 통보했고 딸들은 동의서에 서명을 해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준비 없이 찾아온 아버지의 죽음…

더 보기

4회 – 마지막 여행의 장소, 호스피스

우리나라의 건강수명을 고려하면 보통 66세부터 83세까지, 신체적 정신적 기능이 약해지면서 고혈압, 당뇨, 뇌졸중, 폐렴 또는 낙상에 의한 골절로 병원신세를 진다. 이러한 병이나 장애로 자립이 어려워지면 요양병원이나 요양원에 입원한다. 요양시설에서 지내다 보면 폐렴, 요로감염, 갑작스런 뇌경색이 일어나는 경우가 흔하다. 그러면 요양시설에서는 종합병원 응급실로 환자를 이송시키고 병원에서는 중환자실로 옮겨진다. 회복되는 경우도 있지만 이 과정에서 사망하는 노인이 더…

더 보기

3회 – 젠틀하게 해체되는 법, 수분해장

수분해장을 아십니까? 우리의 몸은 70%가 물이다. ‘물은 열량이 없고 유기 영양분을 제공하지 않지만 생명을 유지하는데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적 요소이다. 인류를 비롯한 모든 생물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물질이며, 생체의 중요한 성분이다. 성인은 약 70%, 2차 성징 이전의 어린이는 약 90%, 어류는 약 85%, 그 밖에 물 속의 미생물은 약 95%가 물로 구성되어 있다.’(위키피디아 ‘물’) 물은…

더 보기

2회 – 화장(火葬)을 다시 생각하다

대세가 된 화장(火葬) 장사(葬事) 의례는 종교와 관련이 깊다. 지난 5월 헬기 사고로 사망한 에브라함 라이시 이란 대통령의 장례식은 3일장으로 치러졌다. 나라별로 차이는 있지만 국장은 최소 5일장 이상인 것을 감안하면 좀 짧은데 그 이유는 이슬람의 장례문화에 있다. 이슬람에서는 사후 ‘심판의 날’에 육신이 부활한다고 믿기 때문에 시체가 부패하기 전 빨리 매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24시간이내 늦어도…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