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2025 가을 포럼]2025체인지메이커컨퍼런스_고령화 시대 새로운 가족 그리고 집

나이듦연구소가 2025 체인지메이커컨퍼런스의 토킹&네트워킹 프로그램에 참여합니다.
우리는 누구와 함께 늙어가게 될까요? 이미 우리 사회에는 혈연관계에 기반하지 않은 새로운 가족에 대한 고민과 함께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대안적 가족에 대한 실험과 커뮤니티 기반의 다양한 주거모델을 시도하는 사례들을 살펴보면서 고령화 시대의 가족과 집에 대해 토론해 봅니다.

2025년 8월 19일(금) 저녁 6시-9시
헤이그라운드 8층 스카이라운지

[공지][2025 가을 포럼]2025체인지메이커컨퍼런스_K장녀 돌봄을 말하다

나이듦연구소가 2025 체인지메이커컨퍼런스의 토킹&네트워킹 프로그램에 참여합니다.
가족 돌봄을 떠맡고 있는 비혼, K장녀를 포함, 많은 돌봄 관계자들이 원탁에 둘러앉아, 돌봄과 관련된 사적인 경험을 공공연하게 말하면서 서로를 치유하고, 나아가 사회적 돌봄이 이루어지는 돌봄사회의 구체적 모습을 함께 그려봅니다.

2025년 8월 18일(목) 저녁 6시-9시
헤이그라운드 8층 스카이라운지

[2025 여름 포럼]치매, 돌봄, 그리고 요양원_후기

8월 16일 오후 두시 파지사유(수지구 동천동 874-6)에서 나이듦연구소 2025 여름 포럼 <치매, 돌봄, 그리고 요양원>이 열렸다. 포럼 공지를 하고 내내 목을 빼고 기다렸던 귀한 참가 신청자가 8명이었다. 그 중에 한 분은 개인 사정이 생겨 불참을 미리 통보했고, 한 분을 연락없이 불참이었다. 그나마 남원에서 신청하신 한분이 숙모님을, 또다른 한 분은 딸을 대동하고 와서 준비한 좌석을 꽉…

[2025 여름 포럼]치매, 돌봄, 그리고 요양원_발제2 좋은 요양원을 생각하며

요양원에 가보다 올해 나이듦연구소에서 연구 주제를 ‘돌봄’으로 정하면서 실제로 운영되고 있는 요양원이 궁금해졌다. 관련 기사를 검색하다가 구성에 있는 한 요양원을 알게 되었다. 치매 전담 요양원으로 ‘느린 돌봄’의 철학으로 노인당 보호사 비율을 2.1대 1로 돌봄을 하고 있다는 요양원이었다. 전화로 자원봉사를 하고 싶다고 밝혔더니 며칠 후 연락이 와서, 2월부터 매주 화요일 3시-5시까지 요양원에서 레크레이션 프로그램의 보조로 자원봉사를…

[2025 여름 포럼]치매, 돌봄, 그리고 요양원_발제1 치매는 처음이라

오늘 포럼 제목은 우리가 맞닥뜨리고 있는 문제이지만 어떻게 풀어나가야 할지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우선 제 경험을 통해 함께 생각해 볼 수 있는 것들을 간단히 정리해보면서 시작해볼까 합니다. 저는 5년째 엄마와 돌봄 관계를 만들어가고 있는 중입니다. 9년 전에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혼자 사시던 엄마는 5년 전에 저희 집으로 오셨습니다. 현재 90세인 엄마는 3년 전에 파킨슨병, 2년…

[공지][2025 여름 포럼] 치매, 돌봄, 그리고 요양원

치매 돌봄과 요양원을 주제로, 치매 돌봄 유경험자 분들 그리고 부모 돌봄에 관여하고 있는 분들을 모시고
나이듦연구소의 두 연구원의 발제와 토론으로 진행합니다.

1부에서는 ‘치매 부모 돌보기의 기쁨과 슬픔’에 관혀여
2부에서는 ‘좋은 요양원이란 무엇인가’에 관하여
다양한 치매 돌봄의 현장을 공유하고 앞으로의 돌봄을 상상해 봅니다.

[2025 봄 포럼]나이 들어서 어디서 살 것인가 후기

2025년 4월 17일 저녁 7시반에 나이듦연구소에서 마련한 첫 포럼 <나이 들어 어디서 살 것인가, 일본의 고령자 주거에서 배운다>가 줌으로 진행되었습니다. 강사로 초청된 김수동선생님은 현재 공동체주택 여백에서 이웃들과 함께 사시며 공동체주택 활동가로 활약하고 계십니다. 김수동선생님은 작년과 올해 연구자, 의사, 사업가 등 고령자 주거 관련 여러 전문가들과 팀을 이뤄 일본의 노년 주거를 탐방하고 그와 관련 출판 프로젝트에…